제1군단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군단은 대한민국 육군의 군단으로, 한국 전쟁 중 시흥지구전투사령부로 창설되어 1951년 제1군단으로 개편되었다. 한국 전쟁에서 동해안 방어, 원산 점령, 중공군과 교전 등 주요 전투에 참여했으며, 휴전 후 제1야전군에 배속되었다. 2000년 "광개토부대"라는 애칭을 얻었으며, 현재는 육군지상작전사령부 예하 부대로 편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군단 - 제2군단 (대한민국)
제2군단은 1950년 창설되어 한국전쟁 중 해체 후 재창설되었으며 현재 춘천에 사령부를 두고 중부 전선을 담당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군단이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군단 - 제3군단 (대한민국)
제3군단은 1950년 10월 창설되어 한국 전쟁에 참전했고, 현리 전투 실패로 해체되었다가 1953년 재창설되어 현재 강원도 인제군 일대에 주둔하며 예하 부대로 제22보병사단 등을 두고 있다. - 대한민국의 군단 - 수도군단
수도군단은 1954년 제6관구사령부를 모태로 1975년 군단으로 개편되어 서울 수도권 방위를 주요 임무로 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야전군급 부대이며, 국방개혁 계획에 따라 수도방위사령부와의 통폐합 논의 후 독립 체제를 유지하며 수도권 방위를 위한 협력 체계를 강화하고 육군지상작전사령부 예하 부대로 운영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군단 - 제5군단 (대한민국)
대한민국 육군 제5군단은 4개의 상비사단과 5개의 여단, 직할 부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육군 최초로 창설된 기갑, 정보, 특공, 통신 부대를 예하에 두고 지상작전사령부의 지휘를 받는다. - 고양시 소재의 관공서 - 법원공무원교육원
대한민국 법원공무원의 교육 및 훈련을 담당하는 대법원 산하 기관인 법원공무원교육원은 1979년 설립되었으며, 법원조직법에 설치 근거를 두고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다. - 고양시 소재의 관공서 - 법원도서관
법원도서관은 법원조직법에 의해 설치된 대법원 직속 도서관으로, 1972년 법원행정처 도서과에서 시작하여 1981년 법원도서관으로 승격되었으며, 2023년 기준 29만 권 이상의 도서를 소장하고 관련 문헌을 제공한다.
제1군단 (대한민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제1군단 |
원어 명칭 | 第一軍團 |
통칭 | 광개토부대 (廣開土部隊) |
창설일 | 1950년 7월 5일 |
소속 |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육군 |
규모 | 군단 |
종류 | 전술 지휘 부대 |
역할 | 경기도 서부전선 방어, 공격 작전 수행 |
상위 부대 | 지상작전사령부 |
현재 주둔지 | 경기도 고양시 |
마스코트 | 광개토태왕 |
별칭 | GWANGGAETO |
지휘관 | |
현재 군단장 | [[파일:Flag of the ROK Army & Marine Corps Lieutenant General (OF-8).svg|30px]] 중장 주성운 (육사 48기) |
주요 지휘관 | Paik Sun-yup Kim Jong-oh |
전투 및 작전 | |
주요 전투 | 한국 전쟁 |
기타 정보 | |
색상 | 파랑, 하양, 밝은 초록 |
2. 역사
한국 전쟁 발발 3일째, 조선인민군의 공격으로 한강 이남으로 후퇴한 육군본부는 1950년 6월 28일, 수도 한강 방어선 구축을 위해 始興郡한국어 동면 독산리(현 서울특별시금천구禿山洞한국어)에 '''시흥지구전투사령부'''를 설치했다. 김홍일 소장의 지휘하에 혼성 제2사단과 혼성 제7사단, 혼성 수도사단을 예하에 두고 7월 4일까지 조선인민군의 진격을 지연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듬해 7월 5일, 평택시로 이동한 시흥지구전투사령부는 제1차 재편 계획에 따라 '''제1군단'''으로 개편되었다. 또한 예하 부대도 수도사단, 제1사단, 제2사단으로 변경되었다. 7월 하순, 제1군단은 안동시로 이동했고, 제2차 재편 계획에 따라 예하 부대는 수도사단, 제8사단으로 변경되었다. 부산주변전투에서는 기계에서 조선인민군 제12사단과 교전했다.
1951년 10월 1일, 제1군단은 동해안을 따라 진격을 개시하여 10일 원산시에 주둔하고 있던 조선인민군第12師団한국어 예하 2개 경비여단과 충돌했다. 제7함대와 의 지원을 받아 경비여단을 격퇴하고, 10월 17일에는 함흥시와 흥남지구를 점령했다. 그러나 중국인민지원군의 맹공격을 받아 12월 24일 흥남에서 후퇴했다.[5]
흥남에서 철수한 제1군단은 목호에 상륙하여 동해안 방어를 담당했다.[6] 1950년 12월 31일, 중공군의 신년 공세(제3차 공세)가 시작되었고, 제1군단은 조선인민군 제2군단에 밀려 삼척시 부근으로 후퇴했다. 2월의 , 3월의 리퍼 작전을 통해 북상하여 양양군에 도달했다.
1950년 5월, 중공군의 5월 공세가 시작되었고, 17일 좌익의 제3군단이 붕괴됨에 따라 제1군단은 방어진지를 축소하게 되었다.[7] 제임스 밴 플리트 중장은 제3사단과 제1군단에 태백산맥을 따라 진출한 중공군을 동서에서 포위하도록 명령했다.[7] 제1군단은 수도사단 제1연대에 대관령을 점령하게 하여 방어선을 확보하고 반격에 나섰다. 5월 말까지 대포리에 진출했다.
1951년 8월, 884고지에서 조선인민군 제3군단과 교전했다. 제1군단이 보유한 105mm 곡사포로는 인민군의 중화기 진지를 제압할 수 없었기에 미군 제10군단의 155mm 곡사포 중대의 지원을 받아 고지를 확보했다. 1951년 10월, 월비산(459고지)에서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져 결국 이를 확보했다. 1952년 7월에는 351고지 전투가 벌어졌다.
휴전 후인 1953년 12월 15일, 제1군에 배속되었다. 1973년 7월 1일 제3군 예하가 되었다.
애칭인 “광개토부대”는 2000년 6월 1일, 대북 최전방 방어에 고구려의 정신을 계승하고 조국통일의 주역이 되는 역할을 한다는 의미를 담아 명명되었다.[8]
2. 1. 한국 전쟁
한국 전쟁이 발발하고 3일 뒤, 조선인민군의 공세에 밀려 한강 이남으로 철수한 육군 본부는 1950년 6월 28일 서울특별시를 지키기 위해 한강 방어선을 구축하고자 경기도 시흥군 동면(현재 서울특별시 금천구)에서 임시로 '''시흥지구전투사령부'''를 창설하였다.[45] 김홍일 소장이 사령관으로 취임하여 수도사단, 제2사단, 제7사단을 지휘하며 7월 4일까지 조선인민군의 진격을 지연시켰다.1950년 7월 5일, 시흥지구전투사령부는 경기도 평택시에서 제1군단으로 개편되었고, 김홍일 소장이 초대 군단장으로 취임하였다.[45] 예하 부대는 수도사단, 제1사단, 제2사단이었다.
1950년 10월 1일, 제1군단은 38선을 넘어 북진하였고, 10월 10일 원산을 점령하였다.[46] 제1군단은 미국 제7함대 예하 제77임무대의 함포 지원을 받아 원산에 상륙할 예정이었던 미국 제10군단을 대신하여 조선인민군 제12사단 예하 2개 경비여단을 격퇴하였다. 이후 제3사단을 원주에 주둔시키고 수도사단을 이끌고 계속 북진하여 10월 17일에는 함흥과 흥남을 점령하였다.[46] 1950년 11월, 제1군단은 수동에서 중국군과 교전하여 승리하고 최소 662명의 사상자를 냈다.[4]
1950년 12월 24일, 중국군의 개입으로 흥남에서 철수하였다.[46][5] 흥남에서 철수한 제1군단은 목호에 상륙하여 동해안 방어를 담당했다.[6]
1951년, 제1군단은 재정비 후, 2월의 , 3월의 리퍼 작전 등을 통해 북진, 양양군에 도달했다.
1951년 5월, 중국군의 5월 공세에 맞서 제1군단은 방어선을 축소하고 반격 작전을 펼쳐 대포리에 진출했다.[7] 제임스 밴 플리트 중장은 제3사단과 제1군단에 태백산맥을 따라 진출한 중국군을 동서에서 포위하도록 명령했다.[7]
1951년 8월부터 1952년 7월까지, 884고지, 월비산(459고지), 351고지 등에서 조선인민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특히 1951년 8월 884고지 전투에서는 미군 제10군단의 155mm 곡사포 중대의 지원을 받아 고지를 확보했고, 10월 월비산(459고지) 전투에서도 치열한 공방전 끝에 고지를 확보했다.
2. 2. 휴전 이후
1953년 12월 15일, 제1야전군에 배속되었다.[8] 1973년 7월 1일 제3야전군으로 제5군단, 제6군단과 함께 재배속되었다.[8]2000년 6월 1일, "광개토부대"라는 애칭이 부여되었다. 이는 대북 최전방 방어에 있어 고구려의 정신을 계승하고 조국통일의 주역이 되는 역할을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8]
2019년 1월 1일, 국방개혁의 일환으로 제1, 3야전군이 병합되어 육군지상작전사령부가 창설됨에 따라, 모든 군단은 지상작전사령부로 전속되었다.[8]
3. 편성
- 현재 편성
제1보병사단 "전진", 제9보병사단 "백마", 제25보병사단 "단결", 제30기갑여단 "필승", 제2기갑여단 "충성", 제1공병여단, 제1포병여단, 제1군수지원여단, 제11방공단[47], 제101정보통신단, 제301경비연대, 제701특공연대, 제11화생방대대, 제141정보대대가 제1군단에 현재 편성되어 있다.[47]
제101정보통신단 예하에는 제711통신대대, 제712통신대대가 있다. 직할부대로는 사령부 직할부대, 701 특수임무대대, 제141정보대대, 제101통신단, 제301경비연대, 제11항공단, 제11화생방지원대대가 있다.
- 과거 편성
제1보병사단 "전진", 제9보병사단 "백마", 제25보병사단 "단결", 제30기갑여단 "필승", 제2기갑여단 "충성", 제1공병여단, 제1포병여단, 제1군수지원여단, 제11방공단[47], 제101정보통신단, 제301경비연대, 제701특공연대, 제11화생방대대, 제141정보대대가 있었다. 제101정보통신단에는 제711통신대대, 제712통신대대가 있었다.
사령부 직할부대로는 701 특수임무대대, 제141정보대대, 제101통신단, 제301경비연대, 제11항공단, 제11화생방지원대대가 있었다.

제1보병사단(전진부대) 예하에는 본부대대, 제11보병연대, 제12보병연대, 제15보병연대, 포병연대가 있었다. 제9보병사단(백마부대) 예하에는 본부대대, 제28보병연대, 제29보병연대, 제30보병연대, 포병연대, 전차대대가 있었다. 제25보병사단(비룡부대) 예하에는 본부대대, 제70보병연대, 제71보병연대, 제72보병연대, 포병연대, 전차대대가 있었다. 제30기계화보병사단(필승부대) 예하에는 제90기계화보병여단, 제91기계화보병여단, 제92기계화보병여단, 포병여단, 장갑정찰대대가 있었다. 제72동원보병사단(올림픽부대) 예하에는 제200보병연대, 제201보병연대, 제202보병연대, 포병연대가 있었다.
3. 1. 현재 편성
제1보병사단 "전진", 제9보병사단 "백마", 제25보병사단 "단결", 제30기갑여단 "필승", 제2기갑여단 "충성", 제1공병여단, 제1포병여단, 제1군수지원여단, 제11방공단[47], 제101정보통신단, 제301경비연대, 제701특공연대, 제11화생방대대, 제141정보대대가 제1군단에 현재 편성되어 있다.[47]제101정보통신단 예하에는 제711통신대대, 제712통신대대가 있다. 직할부대로는 사령부 직할부대, 701 특수임무대대, 제141정보대대, 제101통신단, 제301경비연대, 제11항공단, 제11화생방지원대대가 있다.
3. 2. 과거 편성
제1보병사단 "전진", 제9보병사단 "백마", 제25보병사단 "단결", 제30기갑여단 "필승", 제2기갑여단 "충성", 제1공병여단, 제1포병여단, 제1군수지원여단, 제11방공단[47], 제101정보통신단, 제301경비연대, 제701특공연대, 제11화생방대대, 제141정보대대가 있었다. 제101정보통신단에는 제711통신대대, 제712통신대대가 있었다.사령부 직할부대로는 701 특수임무대대, 제141정보대대, 제101통신단, 제301경비연대, 제11항공단, 제11화생방지원대대가 있었다.
예하 부대로는 제1보병사단, 제9보병사단, 제25보병사단, 제2기갑여단, 제30기갑여단, 제1공병여단, 제1포병여단, 제1지원여단이 있었다.
제1보병사단(전진부대) 예하에는 본부대대, 제11보병연대, 제12보병연대, 제15보병연대, 포병연대가 있었다. 제9보병사단(백마부대) 예하에는 본부대대, 제28보병연대, 제29보병연대, 제30보병연대, 포병연대, 전차대대가 있었다. 제25보병사단(비룡부대) 예하에는 본부대대, 제70보병연대, 제71보병연대, 제72보병연대, 포병연대, 전차대대가 있었다. 제30기계화보병사단(필승부대) 예하에는 제90기계화보병여단, 제91기계화보병여단, 제92기계화보병여단, 포병여단, 장갑정찰대대가 있었다. 제72동원보병사단(올림픽부대) 예하에는 제200보병연대, 제201보병연대, 제202보병연대, 포병연대가 있었다.
4. 역대 지휘관
wikitext
대수 | 성명 | 임기 | 비고 | |
---|---|---|---|---|
제1군단장 | ||||
초대 | 김홍일 | 1950년 7월 5일 ~ 1950년 9월 1일 | 예) 육군 중장,[48] 귀주육군강무학교 2기, 중국육군대학 특별반 6기, 참모학교장 역임, 육군종합학교장 역임 | |
2대 | 김백일 | 1950년 9월 1일 ~ 1951년 3월 29일 | 육군 소장, 봉천군관학교 5기, 군사영어학교 1기, 부군단장 역임, 항공기 사고로 순직 | |
3대 | 백선엽 | 1951년 4월 7일 ~ 1951년 12월 2일 | 육군 소장, 봉천군관학교 9기, 군사영어학교 1기, 제1사단장 역임, 제2군단장 역임 | |
4대 | 이형근 | 1952년 2월 2일 ~ 1954년 2월 2일 | 육군 중장, 육사 56기, 군사영어학교 1기, 육군본부 교육총장 역임, 합동참모의장 역임 | |
5대 | 김종오 | 1954년 2월[9] ~ 1954년 6월? | 군사영어학교 1기, 육사 교장 역임, 제5군단장 역임 | |
6대 | 최덕신 | 1954년 6월? ~ 1956년 4월 | 중앙군관학교 10기, 경비사관학교 특별과정 3기, 제11기동사단 역임, 예비역 편입 | |
7대 | 백인엽 | 1956년 4월[10] ~ 1956년 10월 | 간부후보생, 군영 1기, 육군본부 기획참모부 부장 역임, 제6군단장 역임 | |
8대 | 장창국 | 1956년 10월 ~ 1957년 7월 | 육사 59기, 육사 교장 역임, 제2군단장 역임 | |
9대 | 양국진 | 1957년 7월 ~ 1959년 7월 | 봉천 6기, 제1훈련소장[11] 역임, 제3군단장 역임 | |
대리 | 박시창 | 1959년 3월 18일 ~ 1959년 3월 29일 | 육군 소장 | |
대리 | 안춘생 | 1959년 3월 29일 ~ 1959년 5월 31일 | 육군 중장 | |
10대 | 김용배 | 1959년 7월 ~ 1960년 4월 | 군영 1기, 미 육군 지휘참모대학 졸업, 기획참모부장 역임, 제5군단장 역임, 육군 소장 | |
11대 | 최석 | 1960년 4월 28일 ~ 1960년 10월 1일 | 육군 중장, 군영 1기, 제1군 부사령관 역임, 제3군단장 역임 | |
12대 | 박림항 | 1960년 7월 ~ 1960년 10월 | 동덕대 2기 예과, 육사 56기, 국방부 차관보 역임, 제5군단장 역임, 육군 소장 | |
13대 | 임부택 | 1960년 10월 1일 ~ 1961년 2월 26일 | 육군 중장, 경비사관학교 제1기, 충청도 계엄사령관 역임, 예비역 편입, 육군 소장 | |
14대 | 김익렬 | 1962년 3월 2일 ~ 1962년 7월 10일 | 육군 중장, 육군예비사관학교 졸업, 군영 1기, 전라북도 지역 계엄사무소장 역임, 제2군단장 역임, 육군 소장 | |
15대 | 문형태 | 1962년 ~ 1962년 | 일본 자원병 2기, 경사 2기, 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12] 역임, 제2군단장 역임 | |
16대 | 이상철[13] | 1962년 ~ 1963년[14] | 군영 1기, 제3군관구 사령관 역임, 제2군단장 역임, 육군 소장 | |
17대 | 김상복[15] | 1963년 ~ 1965년 2월 26일 | 군영 1기, 제2군단장 역임 | |
18대 | 심흥선 | 1965년 2월 26일[16] ~ 1966년 | 육사 2기, 참모본부 관리참모부장 역임, 제3군단장 역임, 육군 소장 | |
19대 | 전부일 | 1966년 ~ 1967년 | 육군 중장, 경사 2기, 제5군관구 사령관 역임, 제2훈련소장 역임 | |
20대 | 김재명 | 1967년[17] ~ 1970년 | 육사 2기, 제3군관구 사령관 역임, 합동참모본부장 역임 | |
21대 | 최우근 | 1970년 ~ 1972년 6월 | 육군 중장, 육사 3기, 수도방위사령관 역임, 육사 교장 역임 | |
22대 | 박희동 | 1972년 6월 ~ 1974년 | 육군 중장, 육사 3기, 제20사단장 역임, 긴급보통군법회의 제1심판부 재판장[18], 제2야전군 사령관 역임 | |
23대 | 양봉직 | 1974년 ~ 1975년 | 육군 중장, 육사 6기, 육군사관학교 교장 역임 | |
24대 | 이희성 | 1975년 ~ 1977년 | 육군 중장, 육사 8기, 국방총성 기획국장 역임, 국방특명검열단장 역임 | |
25대 | 황영시 | 1977년 ~ 1979년 | 육군 중장, 육사 10기, 육군3사관학교 교장 역임, 육군참모차장 역임, 하나회의 후원자 | |
26대 | 김윤호 | 1979년 ~ 1981년 | 육군 중장, 육사 10기, 육군 보병학교 교장 역임, 제1야전군 사령관 역임 | |
27대 | 이기백 | 1981년 ~ 1982년 | 육군 중장, 육사 11기, 국보위 운영위원장 역임, 육군참모본부 차장 역임 | |
28대 | 백운택 | 1982년 6월 5일 ~ 1982년 11월 3일 | 육군 중장, 육사 11기, 육군정보사령관 역임, 급서, 하나회 | |
대리 | 이광로 | 1982년 11월 3일 ~ 1983년 | 육군 중장, 육사 10기, 수도군단 역임, 예비역 편입, 하나회 | |
29대 | 박희도 | 1983년 ~ 1983년 | 육군 중장, 육사 12기, 특전사령관 역임, 제3야전군 사령관 역임, 하나회 | |
30대 | 최세창 | ~ 1983년 12월 | 육군 중장, 육사 13기, 수도경비사령관[19] 역임, 육군참모차장 역임, 하나회 | |
31대 | 류승국 | 1983년 12월 ~ ? | 육군 중장, 육사 13기, 제17보병사단 역임, 합동참모본부장[20] 역임 | |
32대 | 문영일 | ? ~ 1987년 | 육군 중장, 육사 14기, 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21] 역임, 긴급기획위원회 부위원장 역임 | |
33대 | 이필섭 | 1987년 ~ 1989년 4월 | 육군 중장, 육사 16기, 제9사단장[22] 역임, 육사 교장 역임, 하나회 | |
34대 | 이병태 | 1989년 4월 ~ 1990년 12월 | 육군 중장, 육사 17기, 육본 정책기획실장 역임, 합참 작전본부장 역임 | |
35대 | 김상준 | 1990년 12월 ~ 1992년 12월 | 육군 중장, 육사 19기, 수방본부 30단장[23] 역임, 합동참모작전기획본부장[24] 역임, 하나회 | |
36대 | 조성태 | 1992년 12월 ~ 1993년 10월 | 육군 중장, 육사 20기, 국방부 정책기획관[25] 역임, 국방부 정책실장[26] 역임 | |
37대 | 김탁[27] | 1993년 10월 ~ 1995년 10월 | 육군 중장, 육사 21기, 제3야전군 참모장[28] 역임, 제3야전군 부사령관 역임 | |
38대 | 박녕익 | 1995년 10월[29] ~ 1998년 4월 | 육군 중장, 육사 23기, 제1군단 통상군사재판소장[30] 역임, 육군참모차장 대리 역임 | |
39대 | 강신육 | 1998년 4월 ~ | 육군 중장, 육사 24기, 육군참모차장 역임 | |
40대 | 정중민 | ~ 2000년 10월 25일 | 육군 중장, 육사 25기, 제8사단장 역임, 군수사령관 역임 | |
41대 | 오현구[31] | 2000년 10월 25일 ~ 2002년 10월 18일 | 육군 중장, 육사 26기, 육군본부 기획관리참모부장[32] 역임, 항공작전사령관 역임 | |
42대 | 김선홍[33] | 2002년 10월 18일 ~ 2004년 10월 15일[34] | 육군 중장, 육사 28기, 육사 교장 역임 | |
43대 | 임충빈 | 2004년 10월 ~ 2006년 12월 5일 | 육군 중장, 육사 29기, 육군교육사령부 교육훈련부장 역임, 육사 교장 역임 | |
44대 | 장광일[35] | 2006년 12월 5일 ~ 2008년 4월 3일 | 육군 중장, 육사 31기, 제26사단장 역임,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역임 | |
45대 | 황중선[36] | 2008년 4월 3일 ~ 2009년 11월 9일 | 육군 중장, 육사 32기, 자이툰 부대장 역임,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역임 | |
46대 | 권오성 | 2009년 11월 9일 ~ 2010년 12월 | 육군 중장, 육사 34기,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역임, 국방부 정책기획관 역임 | |
47대 | 최종일[37] | 2010년 12월 ~ 2012년 5월 3일 | 육군 중장, 육사 34기, 국방정보본부장 역임 | |
48대 | 모종화[38] | 2012년 5월 3일 ~ 2013년 10월 31일 | 육군 중장, 육사 36기, 제31사단장 역임, 육군인사사령관[39] 역임 | |
49대 | 엄기학 | 2013년 10월 31일 ~ 2015년 4월 13일 | 육군 중장, 육사 37기, 작전기획부장 역임 | |
50대 | 김용우 | 2015년 4월 13일 ~ 2016년 10월 17일 | 육군 중장, 육사 39기, 제9사단장 역임, 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본부장 역임 | |
51대 | 서욱 | 2016년 10월 17일 ~ 2017년 9월 29일 | 육군 중장, 육사 41기, 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 역임,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역임 | |
52대 | 안영호 | 2017년 9월 29일 ~ 2019년 5월 10일 | 육군 중장, 육사 42기, 제25사단장 역임,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역임 | |
53대 | 황대일 | 2019년 5월 10일 ~ 2020년 12월 7일 | 육군 중장, 육사 43기, 3사관학교장 역임, 육군군수사령관 역임 | |
54대 | 안병석 | 2020년 12월 7일 ~ 2021년 12월 9일 | 육군 중장, 육사 45기, 육군본부 정보작전참모부장 역임, 육군참모차장 역임 | |
55대 | 이두희 | 2021년 12월 10일 ~ 2022년 12월 1일 | 육군 중장, 육사 46기, 국방부 국방정책실 정책기획관 역임,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 역임 | |
56대 | 강호필 | 2022년 12월 1일 ~ 2023년 11월 6일 | 육군 중장, 육사 47기,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 작전부장 역임,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역임 | |
57대 | 주성운 | 2023년 11월 6일[40] ~ 현재 | 육군 중장, 육사 48기, 육군본부 정책실장 역임 |
4. 1. 역대 군단장
대수 | 성명 | 임기 | 비고 | |
---|---|---|---|---|
제1군단장 | ||||
초대 | 김홍일 | 1950년 7월 5일 ~ 1950년 9월 1일 | 예) 육군 중장,[48] 귀주육군강무학교 2기, 중국육군대학 특별반 6기, 참모학교장 역임, 육군종합학교장 역임 | |
2대 | 김백일 | 1950년 9월 1일 ~ 1951년 3월 29일 | 육군 소장, 봉천군관학교 5기, 군사영어학교 1기, 부군단장 역임, 항공기 사고로 순직 | |
3대 | 백선엽 | 1951년 4월 7일 ~ 1951년 12월 2일 | 육군 소장, 봉천군관학교 9기, 군사영어학교 1기, 제1사단장 역임, 제2군단장 역임 | |
4대 | 이형근 | 1952년 2월 2일 ~ 1954년 2월 2일 | 육군 중장, 육사 56기, 군사영어학교 1기, 육군본부 교육총장 역임, 합동참모의장 역임 | |
5대 | 김종오 | 1954년 2월[9] ~ 1954년 6월? | 군사영어학교 1기, 육사 교장 역임, 제5군단장 역임 | |
6대 | 최덕신 | 1954년 6월? ~ 1956년 4월 | 중앙군관학교 10기, 경비사관학교 특별과정 3기, 제11기동사단 역임, 예비역 편입 | |
7대 | 백인엽 | 1956년 4월[10] ~ 1956년 10월 | 간부후보생, 군영 1기, 육군본부 기획참모부 부장 역임, 제6군단장 역임 | |
8대 | 장창국 | 1956년 10월 ~ 1957년 7월 | 육사 59기, 육사 교장 역임, 제2군단장 역임 | |
9대 | 양국진 | 1957년 7월 ~ 1959년 7월 | 봉천 6기, 제1훈련소장[11] 역임, 제3군단장 역임 | |
대리 | 박시창 | 1959년 3월 18일 ~ 1959년 3월 29일 | 육군 소장 | |
대리 | 안춘생 | 1959년 3월 29일 ~ 1959년 5월 31일 | 육군 중장 | |
10대 | 김용배 | 1959년 7월 ~ 1960년 4월 | 군영 1기, 미 육군 지휘참모대학 졸업, 기획참모부장 역임, 제5군단장 역임, 육군 소장 | |
11대 | 최석 | 1960년 4월 28일 ~ 1960년 10월 1일 | 육군 중장, 군영 1기, 제1군 부사령관 역임, 제3군단장 역임 | |
12대 | 박림항 | 1960년 7월 ~ 1960년 10월 | 동덕대 2기 예과, 육사 56기, 국방부 차관보 역임, 제5군단장 역임, 육군 소장 | |
13대 | 임부택 | 1960년 10월 1일 ~ 1961년 2월 26일 | 육군 중장, 경비사관학교 제1기, 충청도 계엄사령관 역임, 예비역 편입, 육군 소장 | |
14대 | 김익렬 | 1962년 3월 2일 ~ 1962년 7월 10일 | 육군 중장, 육군예비사관학교 졸업, 군영 1기, 전라북도 지역 계엄사무소장 역임, 제2군단장 역임, 육군 소장 | |
15대 | 문형태 | 1962년 ~ 1962년 | 일본 자원병 2기, 경사 2기, 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12] 역임, 제2군단장 역임 | |
16대 | 이상철[13] | 1962년 ~ 1963년[14] | 군영 1기, 제3군관구 사령관 역임, 제2군단장 역임, 육군 소장 | |
17대 | 김상복[15] | 1963년 ~ 1965년 2월 26일 | 군영 1기, 제2군단장 역임 | |
18대 | 심흥선 | 1965년 2월 26일[16] ~ 1966년 | 육사 2기, 참모본부 관리참모부장 역임, 제3군단장 역임, 육군 소장 | |
19대 | 전부일 | 1966년 ~ 1967년 | 육군 중장, 경사 2기, 제5군관구 사령관 역임, 제2훈련소장 역임 | |
20대 | 김재명 | 1967년[17] ~ 1970년 | 육사 2기, 제3군관구 사령관 역임, 합동참모본부장 역임 | |
21대 | 최우근 | 1970년 ~ 1972년 6월 | 육군 중장, 육사 3기, 수도방위사령관 역임, 육사 교장 역임 | |
22대 | 박희동 | 1972년 6월 ~ 1974년 | 육군 중장, 육사 3기, 제20사단장 역임, 긴급보통군법회의 제1심판부 재판장[18], 제2야전군 사령관 역임 | |
23대 | 양봉직 | 1974년 ~ 1975년 | 육군 중장, 육사 6기, 육군사관학교 교장 역임 | |
24대 | 이희성 | 1975년 ~ 1977년 | 육군 중장, 육사 8기, 국방총성 기획국장 역임, 국방특명검열단장 역임 | |
25대 | 황영시 | 1977년 ~ 1979년 | 육군 중장, 육사 10기, 육군3사관학교 교장 역임, 육군참모차장 역임, 하나회의 후원자 | |
26대 | 김윤호 | 1979년 ~ 1981년 | 육군 중장, 육사 10기, 육군 보병학교 교장 역임, 제1야전군 사령관 역임 | |
27대 | 이기백 | 1981년 ~ 1982년 | 육군 중장, 육사 11기, 국보위 운영위원장 역임, 육군참모본부 차장 역임 | |
28대 | 백운택 | 1982년 6월 5일 ~ 1982년 11월 3일 | 육군 중장, 육사 11기, 육군정보사령관 역임, 급서, 하나회 | |
대리 | 이광로 | 1982년 11월 3일 ~ 1983년 | 육군 중장, 육사 10기, 수도군단 역임, 예비역 편입, 하나회 | |
29대 | 박희도 | 1983년 ~ 1983년 | 육군 중장, 육사 12기, 특전사령관 역임, 제3야전군 사령관 역임, 하나회 | |
30대 | 최세창 | ~ 1983년 12월 | 육군 중장, 육사 13기, 수도경비사령관[19] 역임, 육군참모차장 역임, 하나회 | |
31대 | 류승국 | 1983년 12월 ~ ? | 육군 중장, 육사 13기, 제17보병사단 역임, 합동참모본부장[20] 역임 | |
32대 | 문영일 | ? ~ 1987년 | 육군 중장, 육사 14기, 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21] 역임, 긴급기획위원회 부위원장 역임 | |
33대 | 이필섭 | 1987년 ~ 1989년 4월 | 육군 중장, 육사 16기, 제9사단장[22] 역임, 육사 교장 역임, 하나회 | |
34대 | 이병태 | 1989년 4월 ~ 1990년 12월 | 육군 중장, 육사 17기, 육본 정책기획실장 역임, 합참 작전본부장 역임 | |
35대 | 김상준 | 1990년 12월 ~ 1992년 12월 | 육군 중장, 육사 19기, 수방본부 30단장[23] 역임, 합동참모작전기획본부장[24] 역임, 하나회 | |
36대 | 조성태 | 1992년 12월 ~ 1993년 10월 | 육군 중장, 육사 20기, 국방부 정책기획관[25] 역임, 국방부 정책실장[26] 역임 | |
37대 | 김탁[27] | 1993년 10월 ~ 1995년 10월 | 육군 중장, 육사 21기, 제3야전군 참모장[28] 역임, 제3야전군 부사령관 역임 | |
38대 | 박녕익 | 1995년 10월[29] ~ 1998년 4월 | 육군 중장, 육사 23기, 제1군단 통상군사재판소장[30] 역임, 육군참모차장 대리 역임 | |
39대 | 강신육 | 1998년 4월 ~ | 육군 중장, 육사 24기, 육군참모차장 역임 | |
40대 | 정중민 | ~ 2000년 10월 25일 | 육군 중장, 육사 25기, 제8사단장 역임, 군수사령관 역임 | |
41대 | 오현구[31] | 2000년 10월 25일 ~ 2002년 10월 18일 | 육군 중장, 육사 26기, 육군본부 기획관리참모부장[32] 역임, 항공작전사령관 역임 | |
42대 | 김선홍[33] | 2002년 10월 18일 ~ 2004년 10월 15일[34] | 육군 중장, 육사 28기, 육사 교장 역임 | |
43대 | 임충빈 | 2004년 10월 ~ 2006년 12월 5일 | 육군 중장, 육사 29기, 육군교육사령부 교육훈련부장 역임, 육사 교장 역임 | |
44대 | 장광일[35] | 2006년 12월 5일 ~ 2008년 4월 3일 | 육군 중장, 육사 31기, 제26사단장 역임,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역임 | |
45대 | 황중선[36] | 2008년 4월 3일 ~ 2009년 11월 9일 | 육군 중장, 육사 32기, 자이툰 부대장 역임,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역임 | |
46대 | 권오성 | 2009년 11월 9일 ~ 2010년 12월 | 육군 중장, 육사 34기,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역임, 국방부 정책기획관 역임 | |
47대 | 최종일[37] | 2010년 12월 ~ 2012년 5월 3일 | 육군 중장, 육사 34기, 국방정보본부장 역임 | |
48대 | 모종화[38] | 2012년 5월 3일 ~ 2013년 10월 31일 | 육군 중장, 육사 36기, 제31사단장 역임, 육군인사사령관[39] 역임 | |
49대 | 엄기학 | 2013년 10월 31일 ~ 2015년 4월 13일 | 육군 중장, 육사 37기, 작전기획부장 역임 | |
50대 | 김용우 | 2015년 4월 13일 ~ 2016년 10월 17일 | 육군 중장, 육사 39기, 제9사단장 역임, 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본부장 역임 | |
51대 | 서욱 | 2016년 10월 17일 ~ 2017년 9월 29일 | 육군 중장, 육사 41기, 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 역임,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역임 | |
52대 | 안영호 | 2017년 9월 29일 ~ 2019년 5월 10일 | 육군 중장, 육사 42기, 제25사단장 역임,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역임 | |
53대 | 황대일 | 2019년 5월 10일 ~ 2020년 12월 7일 | 육군 중장, 육사 43기, 3사관학교장 역임, 육군군수사령관 역임 | |
54대 | 안병석 | 2020년 12월 7일 ~ 2021년 12월 9일 | 육군 중장, 육사 45기, 육군본부 정보작전참모부장 역임, 육군참모차장 역임 | |
55대 | 이두희 | 2021년 12월 10일 ~ 2022년 12월 1일 | 육군 중장, 육사 46기, 국방부 국방정책실 정책기획관 역임,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 역임 | |
56대 | 강호필 | 2022년 12월 1일 ~ 2023년 11월 6일 | 육군 중장, 육사 47기,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 작전부장 역임,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역임 | |
57대 | 주성운 | 2023년 11월 6일[40] ~ 현재 | 육군 중장, 육사 48기, 육군본부 정책실장 역임 |
4. 2. 역대 부군단장
- 류재흥: 1950년 7월 3일 - 7월 12일[41]
- 김백일: 1950년 7월 - 9월 1일[41]
- 김종갑: 1950년 9월 16일 - 10월[41]
- 이준식: 1950년 10월 - 1951년 4월[41]
- 장창국: 1951년 4월 27일 - 51년 7월[41]
- 강문봉: 1952년 7월 - 8월[41]
- 최홍희: 1953년 1월 1일 -[41]
- 이성가: 1956년 2월 - 9월[41]
- 박시창: 1956년[41]
- 한태일(ハン・テイル한국어, 1978년[41] - ?
- 금용백(琴鏞柏한국어, 2016년 -[41]
4. 3. 역대 참모장
5. 군단가
조국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최초로 횃불 든 호국의 군단으로, 최강의 전사들과 용맹한 기상으로 전승의 역사를 이어가고 있다.
1950년 10월 1일, 최초로 38선을 돌파한 눈부신 전공을 세운 군단으로, 무적의 용사들의 혼을 이어받아 대한민국과 강토를 굳게 지키고 있다.
불굴의 투지로 승리하며, 새로운 역사를 창조하는 제1군단은 통일의 선봉에서 자유, 평화, 번영을 위해 전진한다.
참조
[1]
서적
The Korean War: The Outbreak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8-16
[2]
웹사이트
I ROK Corps
https://www.globalse[...]
2024-02-09
[3]
웹사이트
Overview of the Korean War - Korean War Project
http://www.koreanwar[...]
2015-11-09
[4]
웹사이트
Battle of the Chosin Reservoir Korean War
http://www.britannic[...]
2015-11-09
[5]
뉴스
【6・25 60周年】覚えておくべき戦争史(18)「興南撤収作戦」(【6·25 60주년】기억해야 할 전쟁사(18) '흥남철수작전')
http://www.newsis.co[...]
2010-07-08
[6]
서적
図説朝鮮戦争
河出書房新社
[7]
서적
図説朝鮮戦争
河出書房新社
[8]
뉴스
九里市―1軍団広開土部隊、姉妹関係締結(구리시-1군단 광개토부대, 자매결연 체결)
http://www.ngn24.co.[...]
2011-06-08
[9]
웹사이트
金鍾五/護国追慕室
http://wmk.kr/ko/nod[...]
[10]
웹사이트
白仁燁/護国追慕室
http://www.wmk.kr/ko[...]
[11]
블로그
楊国鎮陸軍中将墓地の写真
http://blog.daum.net[...]
[12]
뉴스
合同参謀議長 文亨泰大将(합참의장 문형태대장)
http://gangnam.joins[...]
1968-08-06
[13]
웹사이트
功勲録
http://dnc.go.kr/_pr[...]
[14]
블로그
李相喆陸軍少将墓地の写真
http://blog.daum.net[...]
[15]
뉴스
第17代参謀次長 金相福中将(“17대 참모차장 김상복 중장”)
http://news.joins.co[...]
1968-02-16
[16]
뉴스
1965-02-26
[17]
웹사이트
功勲録
http://dnc.go.kr/_pr[...]
[18]
뉴스
執行猶予〜懲役15年間宣告(집유∼징역 15연 선고)
http://news.joins.co[...]
1974-03-29
[19]
뉴스
三清教育担当師団長24人 - 朴世直・朴熙道・崔世昌氏など(삼청교육담당 사단장 24명-박세직·박희도·최세창씨등)
http://archives.kdem[...]
1988-10-04
[20]
뉴스
【訃報】柳承国前兵務庁長ほか(【부고】류승국 전 병무청장 外)
http://news.jtbc.joi[...]
2013-09-23
[21]
뉴스
緊急企画委員会委員長 チェ・ムンギュさん 任命(비상기획위원회 위원장 최문규씨 임명)
http://news.joins.co[...]
1988-12-06
[22]
웹사이트
16 이필섭 (대장. 전합참의장)
http://blog.daum.net[...]
[23]
웹사이트
회원 - 서창녕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http://www.csuh.pe.k[...]
[24]
웹사이트
国防部、国軍機務司令官更迭(국방부, 국군 기무사령관 경질)
http://imnews.imbc.c[...]
[25]
뉴스
【月曜インタビュー】趙成台国防長官って誰?(【월요인터뷰】조성태 국방장관은 누구인가)
http://news.joins.co[...]
1999-09-13
[26]
뉴스
【将軍の戦争#9】盧泰愚、イジョング陸参総長に「改革の意志ない場合、退け」(노태우, 이종구 육참총장에게 “개혁 의지 없으면 물러나라” 정권마다 국방 개혁 시도…기득권 지키려는 장군들 저항으로 번번이 무산)
http://www.sisapress[...]
2014-03-13
[27]
뉴스
【インタビュー】故金勳中尉の父 金拓予備役中将(【인터뷰】故김훈중위 아버지 김척 예비역중장)
http://news.donga.co[...]
1998-12-09
[28]
뉴스
3軍中少将級32人進級。補職人事(総合)(3軍 中.소장(少將)급 32명 진급.보직인사(종합))
http://ruliweb.daum.[...]
1993-10-18
[29]
웹사이트
정부,육군의 군단장 등 89명의 장군 진급 인사 발표【박노흥】
http://imnews.imbc.c[...]
[30]
웹사이트
판결문 전체 - 물론 저를 처벌하기 위해 꾸민 거짓 - 군가협
http://www.armyngo.o[...]
[31]
뉴스
将星昇進 電報人事(장성 승진.전보인사)
http://www.imaeil.co[...]
2000-10-25
[32]
뉴스
国防部、陸海空軍92人秋の定期人事断行(국방부, 육-해-공군 92명 가을 정기인사 단행)
http://www.donga.com[...]
1996-10-28
[33]
웹사이트
護国英霊遷都慰霊大奉行 7月3日仏教徒将兵など1千人参加(호국영령천도 위령대재 봉행 7월 3일 불자장병 등 1천여명 동참)
http://sky33.realmin[...]
仏教フォーカス
2015-11-18
[34]
뉴스
国防部、軍将官級進級補職人事(국방부, 軍 장성급 진급 전보 인사)
http://news.donga.co[...]
2004-10-15
[35]
뉴스
南北軍事境界線通行妥結(남북 군사분계선 통행 타결)
http://nk.joins.com/[...]
2003-01-28
[36]
뉴스
군장성 정기인사…20명 진급-보직 변경
http://news.donga.co[...]
2006-04-22
[37]
뉴스
서희-제마부대 3진 660명 21일부터 이라크남부 출발
http://news.donga.co[...]
2004-04-19
[38]
뉴스
육군대 44기졸업식
1989-02-10
[39]
뉴스
학산출신 모종화 중장, 육군인사사령관 임명
http://www.yasinmoon[...]
2013-11-01
[40]
뉴스
[단독] 서울 사수 제1군단장에 기갑 병과 출신 임명…창군 이래 처음
https://news.nate.co[...]
2023-11-10
[41]
웹사이트
육군 준장 한태일
http://dnc.go.kr/_pr[...]
국립대전현충원
[42]
웹사이트
육군 소장 이태우
http://dnc.go.kr/_pr[...]
국립대전현충원
[43]
문서
1군단 규모
[44]
뉴스인용
대한민국 육군 1군단, 역대 군단장 초청 행사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07-10-05
[45]
웹인용
시흥지구전투사령부
http://815book.co.kr[...]
국가보훈처
[46]
웹인용
(6·25 60주년) 기억해야 할 전쟁사(18) '흥남철수작전'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0-07-08
[47]
뉴스인용
"2분내로 적기를 격추하는 게이머들입니다"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2-01-06
[48]
문서
1군단장 계급 및 진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